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41

21/12 QYLD ETF 이름 :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티커 : QYLD 변동성이 큰 12월입니다. 월 초 미 지수가 전체적으로 떨어지더니 금새 회복하고는 또 금새 떨어졌습니다. 가만히 두면 언젠가 오르겠지하고 두는 지수추종 ETF와 다르게 원금손실 가능성이 커 보이는 ETF 다 보니 가끔 겁이 납니다.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는 배당 들어온 금액보다 떨어진 가격이 더 많네요 .... 현재 수량은 220개 입니다. 1주당 가격이 21달러 대에 들어오면 살지 정기적으로 계속 살지 고민입니다. 2021. 12. 18.
QYLD ETF 이름 :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티커 : QYLD 연 약10% 정도의 배당을 하는 월배당 ETF입니다.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(300만원)을 받아서 반은 QYLD를 매수해 이자를 내고 있습니다. (이율 4.573%, 매달 12,000원 정도의 이자가 나오네요) 남은 반은 QQQ, QLD, TQQQ를 구매하고 있습니다. 현재 보유 수량은 207개입니다. *주절주절 매달 돈을 주니 좋습니다. 배당보다 주당 가격이 떨어지는 게 클 때 마음이 아픕니다. 그냥 놔두면 올랐다 내렸다 원점입니다. 21.11 배당은 주당 0.225$ 2021. 11. 28.
def ! 함수를 만들어 보자 # 두 숫자를 입력받아 합계를 반환하는 함수(plus)를 만들고 실행하여 출력하시오 def plus() : x = int(input("x = ")) y = int(input("y = ")) return x+y 함수를 정의할 때 def를 붙인다!! 함수의 내용은 : (콜론) 아래 들여쓰기로 구분한다! def plus() : x = int(input("x = ")) y = int(input("y = ")) return x+y print(plus()) plus() 함수를 호출해서 값을 입력받고 변수에 담긴 값을 더한 값을 호출한 곳으로 반환한다 print() 함수가 plus() 함수의 결과를 출력한다! # 파이썬은 문장의 끝에 ;(세미콜론)을 붙이지 않는다 # 스코프(범위)의 구분은 들여쓰기로 파악한다! # .. 2021. 6. 18.
input() 배워보자 입력을 받을 때 사용하는 함수다 input()을 통해서 값을 받으면 타입은 문자열이다 input()은 문자열을 출력하면서 값을 받을 수 있다 변수 ↓ answer = input("안녕하세요?") 위 문장을 실행하면 안녕하세요? 가 출력되고 값을 입력하기를 기다린다. 값을 입력하면 변수 answer에 담기며 타입은 str(문자열)이다. 파이썬은 자료형 선언을 안 할 뿐이지 자료형을 따진다!!!!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name = input("이름 : ") tel = input("연락처 : ") addr = input("주소 : ") age = int(input("나이 : ")) # input() 으로 값을 받으면 타입은 무조건 str(문자열) .. 2021. 6. 18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