타입 파라미터1 제네릭(Generic) method 제네릭을 클래스에 적용한 것과 다르지 않다.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시에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. (범용성?!) static method로 예문을 보는 도중 이걸 어떻게 봐야하는지 헷갈렸다.... (1) public Box boxing(T t) { ... } (외계어가 따로 없다 증말...) (2) public static boolean compare ( Pair p1, Pair p2){ ... } 처음에 이런 코드를 보니 뭔 소린가 싶었다. 1. 처음 나오는 이부분은 타입 파라미터이다. 여기서 타입을 결정한다. 2. (1)에서 Box는 제네릭 클래스이다. 반환값으로 클래스를 준다는 것이다. 3. method 이름 뒤의 ( )는 매개변수이다. 처음에 지정한 타입에 맞게.. 2021. 4. 10. 이전 1 다음